글또 10기를 시작하며 (글또: 작가가 되)
9기로 처음 시작한 글또(글쓰는 또라이) 가 5월 경 끝나고, 10기를 기다려왔습니다. 글또 9기를 하며 많은 분들을 만나보기도 하고, 행사 조직을 해보기도 하고, 2주에 한번씩 글을 쓰며 머리속에만 있는 지식과 실제로 꺼내 쓸 수 있는 지식이 얼마나 다른지도 뼈저리게 느껴보기도 했는데요. 후기 글에서도 작성했지만, 글또의 환경은 정말 얻어갈 것이 많...
9기로 처음 시작한 글또(글쓰는 또라이) 가 5월 경 끝나고, 10기를 기다려왔습니다. 글또 9기를 하며 많은 분들을 만나보기도 하고, 행사 조직을 해보기도 하고, 2주에 한번씩 글을 쓰며 머리속에만 있는 지식과 실제로 꺼내 쓸 수 있는 지식이 얼마나 다른지도 뼈저리게 느껴보기도 했는데요. 후기 글에서도 작성했지만, 글또의 환경은 정말 얻어갈 것이 많...
글또(글쓰는 또라이) 활동 중, 유데미 강의를 골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있었는데요. 강의 중 평상시 관심이 있던 Rust 강의가 있어, 강의를 들으면서 다른 언어에서 보지 못했던 소유권 개념을 정리해봤습니다. 메모리 관리… 컴퓨터 프로그램이 사용하는 자원은 여러가지가 있지만, 그 중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것이 CPU와 메모리입니다. 하지만 개...
2주에 한번씩, 기술 블로그에 글을 쓰는 커뮤니티인 글또의 9기가 마무리 되고 있습니다. 보증금을 내고 2주에 한번씩 글을 쓸 때마다 나중에 환급 받는 구조의 커뮤니티라, 엄밀하게 말하면 10회차 글까지는 모두 마무리 되었고 이제 추가의 2회가 남았습니다. 글또라는 커뮤니티를 알게 된 건 8기 접수 마감후(…)였고, 그 뒤 9기 모집 글이 뜨고 신청...
AWS Certified Network Specialist를 목표로 공부 중인데요, 공부 중 연습 문제에서 외부 네트워크와 VPC를 연결하는 것이나 VPC간 연결하는 방식 등에 대해 많이 다룬 것을 느꼈습니다. 업무 중 VPC간 연결 방식인 VPC Peering은 구성 및 테스트를 해보았지만, 그 외 다른 방식 및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하는 방식들은 어...
글또(글쓰는 또라이) 9기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. 글쓰는 습관을 만들고,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어서 아주 만족하면서 활동하고 있는데요. 이번엔 유데미 강의를 들을 수 있는 기회가 있어, 평상시 궁금했던 카프카(Kafka)에 대한 강의(Apache Kafka 시리즈 – 초보자를 위한 아파치 카프카 강의 v3)를 들어봤습니다. 카프카에 대한 기본적인...
업무 중 사용하는 Datadog 에서 개최하는 컨퍼런스인 Dash에서 어떤 세션이 있는지 조사하고 볼만한게 있는지 찾아보려 했는데요, 단순히 세션 뭐있나 보고 정리하면 될 줄 알았는데 DeepL API와 ChatGPT를 써 보는 등 생각보다 좀 재미있는 딴짓이어서 다시 코드를 구성하며 기록으로 남겨봅니다. 페이지 긁어오기 크롤링 자체는 sele...
작년 Chat-GPT가 나온 이후로, 생성형 AI(Gen-AI)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데요. 여기저기 AI챗봇 서비스가 나오고, Dall-E나 Stable Diffusion을 사용한 게임 개발 책이 나오는 등 정말 빠르게 다양한 도메인에서 활용되고 있는 것 같습니다. 회사에서 사용하고 있는 AWS에서 매해 개최하는 컨퍼런스인 Re:Invent 에서도 그...
회사에서 Observability 가이드/거버넌스 업무를 하고 있는데, 그 중 가장 많이 쓰이는 서비스가 Datadog입니다. 처음 도입 후 이제 꽤 많은 조직에서 사용중인데, 사용중인 조직 중 한 곳에서 우리 서비스 인프라에서 Datadog으로 전송하는 비용을 줄일 수 없을까? 라는 고민을 하고 있어 저희도 여러 고민을 했었습니다. 그 중 한 방안...
회사에서 Observability 관련 업무를 진행할 때 Datadog을 사용하고 있는데, 작년 한바탕 크게 장애가 났었습니다. 그 때는 사내에 어떤 기능이 어디까지 복구가 되었고, 어떤 것은 안되고 있고, Datadog측에서 어떻게 대응하고 있는지 전파하느라 정신이 없었는데요. 장애 복구가 완료된 후에도 단순히 Datadog에서 어떻게 앞으로 대응할...
업무 중 테스트 K8s 클러스터를 만들어야 할 일이 자주 있다. 처음에는 Docker Desktop 에서 제공하는 K8s 클러스터를 사용해서 테스트를 진행했지만, 외부에서 접속하고 테스트해야 할 일도 계속 발생해 아예 회사 테스트 AWS계정에 EKS 클러스터를 만들어 쓰는게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을 했다. EKS클러스터를 만드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다...